2009년 10월 13일 화요일

출구전략(Exit Stategy)

경제회복을 위해 공급됐던 과잉 유동성이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큰 부작용없이 서서히 거두는 전략. 모든 경제정책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면 그에 따른 부작용도 거의 반드시 따르는 법이어서 일정한 정책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그 정책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정책을 다시 거둬들일 필요가 있다.문제는 어느 시기에 어떤 정도로 이를 시행하느냐가 관건이다. 너무 빠르면 해당 정책의 효과가 충분히 발생하기도 전에 이를 철회하는 것이 될 수 있고 너무 늦으면 부작용이 너무 커질 수도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자율을 낮추고 유동성공급을 확대해 왔으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자재가격이 급등하는 등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과잉유동성의 부작용을 견제하기 위해 이자율 인상, 채권매입축소 등이 출구전략으로 논의되고 있다. 탈출계획, 탈출전략, 이탈전략 등의 용어로도 쓰인다.

출처 : http://www.hankyung.com/dic/dicTodayList.php

CD(certificate of deposit) - 양도성 예금증서

양도성예금증서. 은행의 정기예금 중에서 해당 증서의 양도를 가능하게 하는 무기명 상품으로 은행에서 발행되고 증권사와 종금사를 통해 유통된다. CD금리는 매일 금융투자협회에서 고시한다. 금융투자협회는 오전, 오후 한 번씩 10개 증권사로부터 적정 CD금리를 통보받고 최고, 최저 금리 2개를 제외한 8개를 평균해 고시금리를 결정한다.

출처 : http://www.hankyung.com/dic/dicTodayList.php

2009년 5월 29일 금요일

W2361V-PF 23인치 LG LCD 모니터 구입..



기존에 쓰던 모니터가 17인치 완전평면 모니터 한솔 제품이었는데,

특별히 이상이 있다거나 고장난게 아닌데, LCD 모니터가 너무너무

갖고 싶어서 하나 구입했다. 이제 CRT 모니터는 거의 안 쓰니까..

암튼 각설하고 일단 하루 사용해 봤는데, 확실히 좋긴 좋다^^

포장도 사진에서 보는것처럼 잘 되어서 온다..

크기도 크고 화질도 좋고 FULL HD 지원하고, 빠른응답속도, 명암비..

LG전자니까 A/S 도 확실하리라 믿는다..

다른사람들은 몰라도 내 생각에 아직도 TV나 모니터는 LG가 기술이

더 우위에 있는거 같다. 그래서 삼성이 아닌 LG 모니터를 선택했다..ㅎㅎ

2009년 5월 26일 화요일

니드포 스피드 모스트원티드 치트키

일단 시작을 누르면 로고가 나오고 동영상이 나오는데요 동영상이 끝나고나면

한글판에서는 마우스를 클릭하라고 하고 영판에서는 클릭 마우스 하는데요

거기서 스탑!엔터키나 마우스누르지 마시고 그 상태에서 치트를 치세요


castrol : 이걸 쓰면 챌린지모드에서 젤 좋은 차, 즉 시작할 때 주인공이 타던 파란줄무늬

차가 나옵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이름은 안 씀. 성공하면 메시지가 뜹니다.

한번 치트가 성공하면 result이라고 쓴 다음 치트를 써야합니다.

bergerking : 챌린지모드에서 70번째 보너스 미션이 생깁니다.

이 미션을 깨면 엄청난 액의 보상금과 차를 한 대 줍니다. 한 번 해봤더니 넘 어렵다는...

다시 result쓰시고

givemethegto : gto차가 나옵니다. 성능이 좋은지는 직접 해보시면 될듯

vanquish : 특수효과 발생

iammostwanted : 모든 차가 잠금해제됩니다

뭔 뜻이냐면 하다보면 '이 차를 구입하려면 블랙리스트 몇 번을 깨십시오 나오는데요

그거 무시하고 살수 있습니다.

돈 치트는 치트오매틱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합니다.


[출처] 니드포스피드모스트원티드 치트키|작성자 전설왕국

윈도우 비스타 최적화하기

제가 카페글들 여러번 검색해 본 결과 하나로 모아진 비스타 최적화 팁이
없기에 무거운 비스타를 돌리기 버겁지만 XP로 다그 하시기 귀찮으시
다거나 혹은 램업은 하고싶으나 쩐의 압박으로 못하시는 분들 그리고
더욱더 퀘적한 스피드로 비스타를 쓰고싶으신 분들은
한번 따라해보시면 아마도(?) 효과를 얻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설정 하기전 주의 사항: 따라하시면서 이게 뭐하는 건지 모르겠다
싶으시면 그냥 놔두시기를 권장합니다.

1) 불필요한 서비스 비활성화
XP에서도 그랬다시피 비스타에서도 어느 한 개인에게는 정말 필요없는 서비스들이 활성화 상태에서 램메모리를 잡아먹고있습니다. 그래서 이것들을 비활성화 시켜서 가뜩이나 부족한 메모리의 사용을 줄여봅시다.
일단, 제어판으로 가신다음/관리도구(클래식보기)/서비스 더블 클릭 해줍시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창을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그럼, 이제부터 불필요한 서비스들을 비활성화 해봅시다.
(*주의 각 서비스들의 설명을 잘 읽어 보시고 '나한테는 정말 필요없다' 라고 생각하시면 비활성화 시켜주세요!!)

Computer Browser: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IP Helper: IPv6 support가 필요 없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Offline Files: 오프라인 파일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Portable Device Enuemerator Service: 이동식 저장소가 없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Print Spooler: 시스템에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Program Compatibility Assistant Service: 프로그램 호환성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ReadyBoost: 레디 부스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Security Center: 윈도우의 각종 보안프로그램과는 별개의 다른 보안프로그램들을 사용함으로서, 굳이 윈도우가 보안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원치 않으시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Sever: 네트워크를 통해 프린트물이나 파일을 보내지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Table PC Input Service: 타블렛 PC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TCP/IP NetBIOS Helper: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사이에 파일을 공유할 계획이 없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Terminal Service: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연결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Web Client: Windows 기반의 프로그램에서 인터넷 기반의 파일을 작성, 액세스,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일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Windows Defender: 스파이웨어등 기타 잠재적으로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를 찾아 수정 제거해줍니다. 만약 다른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므로 같은 기능을 가진 Windows Defender의 실행을 원치 않으신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개인적인 생각으로 Windows Defender가 비스타에서 새로 추가된 기능이기는 하지만 여타 스파이웨어 프로그램 보다 뛰어나다는 생각은 안드는군요 그래서 저같은 경우는 끄고 사용합니다[카슈파쇼키 인터넷 시큐리티6.0 사용중])

Windows Error Reporting Service: 프로그램이 멈추거나 응답하지 않을때 보고되고 현존하는 솔루션을 전송해줍니다. 또한 진단과 복구를 위한 로그를 생성합니다. 만약 매번 프로그램 에러 발생시 보고를 물어보는 창이 뜨는 것이 귀찮게 느껴지신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Windows Time: 컴퓨터가 자동으로 'tme.windows.com'과 동기화되는 것을 원치 않으시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Windows Update: Windows Update를 사용하고싶지 아니하시다면, 우클릭/속성/시작유형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

2) 성능향상을 위하여 멋진 효과 좀만 제거하기
제어판으로 가신다음->시스템->고급시스템설정->고급탭->성능-설정->시각효과
아래 체크를 해제하세요

- 창의 제어 및 요소에 애니메이션 효과 주기- 메뉴에 시각 효과 사용
- 도구 설명에 시각 효과 사용- 클릭 후 메뉴 항목 천천히 지움
- 메뉴 아래에 그림자 표시
- 마우스 포인터 아래 그림자 표시
- 투명한 선택 사각형 표시- 미끄러지듯 열리는 콤보 상자- 슬라이드 작업 표시줄 단추

선택사항 (비스타 핵심 효과들)- 투명 효과 사용- 바탕 화면 구성 사용- 폴더 유형별로 백그라운드 이미지 사용
- 아이콘 대신 미리보기로 표시
- 바탕화면 구성사용
- 화면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3) 최대 절전 모드 파일 비활성화
Windows는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될 때 하드 드라이브에 장면을 저장합니다.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최대 절전 모드를 비활성화 하고 그 파일을 삭제해서 디스크 여유 공간을 늘리고 싶을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서 이 파일의 용량도 결정되기 때문에, 1GB의 RAM을 가지고 있다면, 1GB의 하드 드라이브 여유 공간을 사용할 겁니다.)
비활성화 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디스크 정리를 이용한 비활성화:
1. 시작/ 모든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시스템 도구/ 디스크 정리를 차례대로 클릭합니다.2. 드라이브 선택 창이 뜨면, 비스타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3. 디스크 정리는 하드 드라이브를 검색한 뒤, 선택 리스트를 표시할 것입니다.4. "최대 절전 모드 파일 정리"를 체크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5. "이 파일을 영구적으로 삭제하시겠습니까?"라고 묻는다면, 파일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비활성화:
1. 시작을 클릭하고, 모든 프로그램, 보조프로그램, "명령 프롬프트"를 오른쪽 클릭합니다.2. 나타나는 메뉴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3. 사용자 계정 컨트롤에서 묻는다면, 계속을 클릭합니다.4.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powercfg -H OFF"를 입력합니다 (띄어쓰기 없이).4.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습니다.

4) 시스템 복원 비활성화
비스타에서는, 시스템 복원이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비스타의 이전 버전에서 설정을 바꿀 때에는 시스템 복원 대신 PC 백업을 사용하는 것을 더 권장합니다.
다음을 따라해서 시스템 복원을 비활성화 해 봅시다:
1.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2."컴퓨터"를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클릭합니다.3. 패널에서 (왼쪽 사이드),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4. UAC에서 설정을 묻는다면, "허용"을 클릭합니다.5. "시스템 보호" 탭을 클릭합니다.6. 하드 드라이브의 리스트의 체크박스를 해제하세요.7. 변경사항을 적용하세요.

5) 시작메뉴 빠르게 하기
작업 표시줄을 오른쪽 클릭한 다음 속성을 클릭합니다. 시작 메뉴 탭/ 사용자 지정을 차례로 클릭하고 "새로 설치된 프로그램 강조"의 체크를 해제하세요. 확인을 클릭하고, 적용을 클릭하면 됩니다.

6) 유용한 레지스트리 설정
(적용 후 문제발생시를 대비해 레지스트리를 백업해두실 것을 권장합니다)

0. 레지스트리 백업 하는 법

시작버튼을 누르시고 검색 칸에 regedit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줍니다.
여기까지 수행 하셨다면 레지스트리편집기가 켜졌을거에요.
자, 그럼 백업을 해봅시다. 레지스트리편집기에서 파일/내보내기를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적당한 곳에 적당한 이름을 붙여 저장버튼을 눌러주시면 레지스트리 백업이 완료된겁니다.

나중에 백업 적용하실때에는 파일/가져오기 버튼을 눌르시고 저장해둔 파일을 가져오시면 됩니다.

자, 그럼 백업도 됬으니 본격적으로 레지스트리를 적용해보아요

1. 응답하지 않는 프로그램 자동 종료

일단, 위와 같은 방법으로 레지스트리편집기를 켜줍시다
그리고 [HKEY_CUREENT_USER\Control Panel\Desktop]으로 가주세요

여기까지 오셨다면 Desktop을 우클릭하고 새로만들기 탭으로 가셔서 문자열 값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오른쪽창에 새로운 문자열 값이 등장하게 되는데 그것을 AutoEndTask로 이름 지어주시고 더블클릭 후 값을 1로 정해줍니다.(새로운 문자열값=AutoEndTaks, 값=1)

2. 윈도우 시작과 종료를 빠르게
(1) 좀전과 마찬가지로 [HKEY_CUREENT_USER\Control Panel\Desktop] 가주세요.
같은 방법으로 새로운 문자열값을 만들어주신 다음 HungAppTimeout로 이름지어주시고
값으로는 1000을 지정해주세요(문자열값=HungAppTimeout, 값=1000)

(2) [HKEY_CUREENT_USER\Control Panel\Desktop]에서 또 다른 문자열값으로
WaitToKillAppTimeout을 만들어주시고 값을 1000으로 해주세요(문자열값=WaitToKillAppTimeout, 값=1000)

(3) 마찬가지로 [HKEY_CUREENT_USER\Control Panel\Desktop] 문자열값으로는 LowLevelHooksTimeout을
만들어주시고 값을 1000으로 지정해주세요(문자열값=LowLevelHooksTimeout, 값=1000)

(4) 마지막으로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 가주세요.
그리고 오른쪽창에 문자열값들중 WaitToKillServiceTimeout 이라는 놈을 찾아서 기존값 20000을 5000으로 변경해주세요(기본값=20000, 변경값=5000)

(5) 다시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5\Control] 로 가셔서
WaitToKillServiceTimeout 을 20000에서 5000으로 바꿔주세요(기본값=20000, 변경값=5000)

(6) 마지막으로 [HKEY_LOCAL_MACHINE\SYSTEM\CurentControlSet\Control]으로 가셔서
마찬가지로 WaitToKillServiceTimeout 을 20000에서 5000으로 바꿔주시면 끝입니다.

글을 마치면서 마지막으로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몬소린지 모르겠다 싶으시면 안하시는게 상책입니다.
그러나 제대로 설정을 마치셨다면 설정 전보다는 조금 더 나은 환경으로 비스타를 즐기실 수 있으실겁니다.

P.S 윈도우키+Tab 을 하면 3D 창전환이 되더군요...


출처 : http://cafe.naver.com/notevaio/52590
[출처]윈도우 비스타 최적화하기 완결

2009년 5월 22일 금요일

바른 결정에 앞서 해야 할 마음 비우기

마음 수련을 하지 않은 사람은 어떤 감정이 떠오르면 그것을 곧바로 이분법

(좋다 싫다, 우호적이다 적대적이다, 긍정적이다 부정적이다 등)으로 분류하

려한다. 반면, 마음을 수련한 사람은 감정을 즉각적으로 분류하려는 본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현실을 정확히 파악한 다음, 건설적인 해결책을 찾고 나서,

차분해진 마음으로 바른 결정을 내린다. 이 과정은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 - 사실은 무엇이고, 무엇이 문제인가?

2단계 -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3단계 - 내가 이루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4단계 - 어떻게 하면 그것을 이룰 수 있는가?

달라이 라마, 라우렌드 판 덴 마위젠베르흐 지음, 김승욱 옮김 '리더스 웨이 - 세계는 지금 새로운 리더를 요구한다' 중에서 (문학동네)

* 달라이 라마는 바른 결정을 하는 네 단계를 설명하면서 섣부른 감정을 버리고 먼저 마음을 차분하게 해야 한다고 합니다. 편협된 시각으로 문제에 접근하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실패한다는 것입니다.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대학>에서도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에 앞서 4가지 공부를 하라고 합니다.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이 바로 그것입니다. 마음을 바로 세우는 정심(正心)이 있어야 사물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고, 그 이치를 깨달을 수 있으며, 뜻한 바에 정성을 다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판단을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마음에 재단된 사고의 틀을 비워야 합니다. 바로 마음을 바로 세운다는 것은고정된 틀 속에 갇힌 자신의 마음을 비워 깨끗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름다운 무지개도 비가 그치고 햇빛이 비칠 때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편협된 시각과 마음을 깨끗하게 비워 우리 모두의 마음에 무지개가 뜨도록 햇빛이 비쳤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봅니다.

원문출처 : http://www.linxus.co.kr/main/view_post.asp?post_seq_no=46953

2009년 5월 21일 목요일

블로그를 만들었다.

블로그를 만들었다.

구글 계정을 이용한 블로그다. 만들기는 그리 어렵지 않았다.

일단 구글 계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구글 블로그를 선택하게 되었다.

구글 메일은 다른 메일보다 좋은 거 같다. 메일 notify 가 있어서...

계정 만들때 정보도 필요없다. 이름하고 사용할 메일 주소만 있으면 끝~

이제 블로그도 만들었으니 활용을 많이 해야겠다 ㅎㅎ

근데 어떤걸로 블로그를 채울지는 막막하다 ㅡㅡ;